경기도 자연환경 공기2 소개
안녕하세요.
경기도호빠입니다.
오늘은 경기도호빠와 함께 경기도 자연환경 공기중 오존, 스모그, 산성비, 대기오염물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기도 자연환경 공기2
오존 (Ozone)
대기중 성층권의 오존은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대류권의 오존은 화학적 스모그의 주요물질입니다. 대류권의 오존은 호흡기관에 손상을 주며, 대부분 국가의 환경기준 오염물질로서, 자동차 배기가스 및 공장 배출가스 등에
함유된 질소산화물(NOx)과 탄화수소 (HCs) 등이 태양광선(자외선)에 의해 복잡한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생성됩니다.
오존은 햇빛이 강하고 맑은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데, 특히 바람이 불지 않을 때 높게 나타나고, 하루중 햇빛이 강한 2∼3시경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오존오염도는 광화학스모그의 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경기도 자연환경 공기2 스모그 (Smog)
연기(Smoke)와 안개(Fog)의 합성어로서 연개 또는 연무라고도 합니다.
공장 이나 건물의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가 기온·풍향·풍속 등의 기상조건과 지리적인 조건들에 의하여 지역적으로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아져 안개를 형성함으로써 일어나는 대기오염현상을 말합니다.
산성비
산성비는 석탄, 석유 등의 화학연료가 연소할 때 배출되는 황산화물, 질 소산화물이 대기중에서 수소와 결합되어 복잡한
화학반응을 일으킨 후 최 종적으로 황산이온, 질산이온 등으로 변화하여 강한 산성을 띤 비가 내리 는 현상을 말합니다.
산성의 강약을 나타내는 척도로써 보통 수소이온농도 (PH)가 사용되고 있는데, Ph5.6이하인 빗물을 산성비라고 합니다.
산성비 는 빗물·서리·눈 등도 포함하는 습성강하물과 가스상태의 건성강하물 도 포함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산성도가 강한 비가 장기간에 걸쳐 내릴 경 우 건물·교량 및 구조물 등을 부식시키고, 식물의 수분흡수를 억제하거나
토양의 유기물 분해를 방해하는 등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켜 생태계에 손상을 입힙니다.
대기오염물질 (Air Pollutant)
대기오염물질이라 함은 매연·먼지·가스 및 악취 등으로 사람의 건강상 또는 재산상 해를 미치거나 동·식물의 생육환경 등
자연환경에 악영향 을 미치는 물질을 말하며, 가스상물질 및 입자상물질로 크게 나눌수 있습니다.
가스상물질은 연소·합성·분해시 발생하거나 물리적 성질에 의해서 발생되는 기체상의 물질로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및 오존 등을 말하며, 입자상물질은 물질의 파쇄, 선별 등 기계적 처리 또는 연소 ·분해·합성시에 발생하는
고체상 또는 액체상의 미세한 물질을 말합니다.
현행 대기환경보전법에서는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가스·입자상물 질 또는 악취물질로 61가지를 정하고 있습니다.
출처 경기도청
경기도 자연환경 공기2 소개 끝